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Shout to A to Z

정말 잘 쓰이는 UX 기법 - 카드 소팅 (실무 적용 예시) 본문

UX Design

정말 잘 쓰이는 UX 기법 - 카드 소팅 (실무 적용 예시)

hjyng 2023. 3. 24. 08:37

카드 소팅은 UX 기법으로 실무에서든, 논문 연구에서든 기초적으로 쓰이는 방법론입니다. 글을 읽으신다면 분명 도움이 되실겁니다. 바로 실무에 적용할 수 있어요!

 

카드 소팅(Card Sorting)이란?

 

Card sorting은 포스트잇 등 카드를 사용하여, 정보 구조나 콘텐츠 전략을 개발할 때 사용하는 사용자 중심적인 설계 기법입니다. 일반적으로, 콘텐츠의 카테고리나 정보 아키텍처를 개발하고자 할 때 사용됩니다.

 

이 방법은 사용자가 정보를 어떻게 조직하고 그룹화하는지 이해하고 콘텐츠를 그룹화하는 방법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합니다.보통은 Card sorting은 4가지 프로세스를 갖고 있습니다.

첫째로 Card sorting을 위해 제작한 카드를 작성합니다.

각각의 카드는 정보 구조를 구성하는 하나의 항목을 나타냅니다.

 

둘째로 모더레이터를 선택합니다. Card sorting을 진행할 모더레이터를 정합니다. 모더레이터는 질문을 해주며 아이디에이션을 활발하게 해요. (모더레이터는 대상 그룹의 대표자이며 콘텐츠 구조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사람이어야 합니다.)

 

세번째로 사용자는 각각의 카드를 분류하고 관련된 항목들끼리 그룹화합니다.

 

네번째로 그룹화된 결과 분석: 카드를 분류하고 그룹화 한 결과를 분석하여 유사성이 높은 항목들을 그룹화하고, 정보 구조를 구성할 때 고려할 수 있는 기준을 찾아냅니다.

 

Card sorting은 정보 구조를 구성하는 데 도움을 주고, 사용자가 콘텐츠를 찾고 이해하기 쉬운 방법으로 그룹화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그리고 Card sorting은 사용자가 정보 구조에 대해 직접적인 참여를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요.

카드소팅-리서치-UX

 

카드 소팅을 실무 예시 1 - 게임기 구매 유도 방법

제가 게임기 회사를 다닌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게임기를 사도록 유도하는 방법' 주제로 아이디에이션을 해야할 때, 우리는 카드 소팅을 해야합니다.자세한 방법을 순서대로 작성한다면 하단과 같습니다.

카드 제작: 카테고리, 서브카테고리 및 항목에 대한 카드를 작성합니다.

사용자 선택: 대상 사용자를 선택합니다. 예를 들어, 남성, 20대, 게임을 즐기는 사용자 등으로 구분합니다.

분류: 사용자는 각각의 카드를 분류하고 관련된 항목들끼리 그룹화합니다.예를 들어, 가격 카테고리에서는 "저렴한 가격대", "보통 가격대", "고가격대"로 분류하고, PlayStation 5와 Xbox Series X는 "콘솔" 서브카테고리에, Nintendo Switch는 "휴대용 게임기" 서브 카테고리에 할당합니다.

그룹화된 결과 분석: 카드를 분류하고 그룹화 한 결과를 분석하여 유사성이 높은 항목들을 그룹화하고, 게임기를 사도록 유도하는 방법을 찾아냅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가성비 좋은 제품'과 'Nintendo Switch'를 함께 그룹화한 경우, 해당 카테고리에서 이 두 제품을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광고 캠페인을 통해 가성비 좋은 제품이라는 매력을 강조하거나, Nintendo Switch의 이동성과 게임 선택의 다양성을 강조하는 등의 마케팅 전략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카드 소팅을 실무 예시 2 - 더 편리한 화장실 이용법

제가 대학생일 경우에도, 역시 카드소팅은 팀프로젝트를 할 때 아이디어를 많이 도출하기에 최적의 방법론입니다. '더 편리한 화장실 이용법' 주제로 팀프로젝트 아이디에이션을 진행해볼게요.

카드 제작: 카테고리, 서브카테고리 및 항목에 대한 카드를 작성합니다.

사용자 선택: 대상 사용자를 선택합니다. 예를 들어, 대학생, 직장인, 공공시설 이용자 등으로 분류될 겁니다.

분류: 사용자는 각각의 카드를 분류하고 관련된 항목들끼리 그룹화합니다.

자동 문과 자동 센서 휴지통은 '자동화' 카테고리에,비데와 향기 제거기는 '기능성' 카테고리에,손을 말리는 공기로 드라이기는 '환경 친화성' 으로 묶어요.

그룹화된 결과 분석: 카드를 분류하고 그룹화 한 결과를 분석하여 더 편리한 화장실 이용법을 찾아냅니다.대학생이 자주 이용하는 화장실에서는 '사용자 편의성'과 '청결'이 중요한 요소일 것입니다.자동 문, 자동 센서 휴지통, 손을 말리는 공기로 드라이기와 같은 '자동화'와 '환경 친화성' 카테고리의 제품을 우선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러한 방법으로 카드소팅 리서치 기법을 이용한다면, 대학교 내 화장실 리모델링에 적용할 수 있는 기능성 제품을 소개하는 광고 캠페인을 내는 것으로 발표자료 결과물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