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Shout to A to Z

자동차 HCI와 UX 정의, 차이점과 공통점, 관련 회사 본문

UX Design

자동차 HCI와 UX 정의, 차이점과 공통점, 관련 회사

hjyng 2023. 3. 20. 23:00

자동차 HCI와 UX란?

자동차 업계에서 말하는 HCI와 UX 개념은 비슷하지만 다른 행태를 보이고 있습니다.

자동차 HCI(Human-Computer Interaction)와 UX(User Experience)는 관련이 있지만 각각 다른 개념입니다.

HCI는 인간과 컴퓨터 간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분야로서, 기술적인 측면에서 사용자와 컴퓨터가 서로 상호작용하는 방식을 이해하고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UX-설계-기획

 

예를 들어 자동차의 경우, HCI는 운전자가 조작하는 컨트롤과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최적화하고, 운전자가 컴퓨터 시스템과 상호작용하는 방식을 이해하고 개선하는 것을 다룹니다. 이 경우 하드웨어의 물리적 요소가 인간의 체형에 적합한지 데이터 분석을 하기도 합니다.

 

반면에 UX는 사용자가 제품 또는 서비스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느끼는 경험을 연구하는 분야로서, 사용자가 제품 또는 서비스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느끼는 만족도, 편리함, 유용성 등을 중심으로 설계합니다. 기능 기획, 와이어프레임 설계, 유저 플로우 설계 등 인터페이스 혹은 기획에도 특화되어 있습니다.

UX는 운전자가 차를 운전하는 과정에서 느끼는 편의성, 안전성,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의 효율성 등을 중심으로 디자인을 최적화하는 것에 집중합니다. 차체뿐만 아니라 차량 내부 시스템에 대하여 사용자 리서치를 통해 사용자 입장에서 점검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렇다면 자동차 HCI와 UX의 공통점은 무엇일까요?

자동차 HCI와 UX는 모두 차량과 인간 사이의 상호작용을 연구하고 설계하는 분야입니다. 둘 다 사용자의 요구와 욕구를 파악하고 분석하여 사용자 경험을 최적화하고, 운전자의 안전과 편의성을 고려합니다.

따라서 자동차 HCI와 UX의 공통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차량과 사용자 사이의 상호작용을 연구하고 설계하는분야입니다.

사용자의 요구와 욕구를 파악하고, 사용자 경험을 최적화하여 운전자의 안전과 편의성을 고려합니다.

차량의 인터페이스, 디자인, 기능, 안전성 등을 고려하여 사용성이 좋게 만드므로 차량을 조작하고 운전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듭니다.

결론적으로, 자동차 HCI와 UX는 함께 고려하면 보다 나은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자동차 HCI 분야에 능숙한 회사는 어디일까요?

자동차 HCI 분야에서 유명한 회사는 다음과 같습니다.

  1. BMW: BMW는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 방식을 적극적으로 적용해온 회사입니다. 사용자가 운전 중에 차량의 인터페이스를 쉽게 조작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디자인을 최적화합니다.
  2. Tesla: Tesla는 인터랙티브한 디지털 시스템과 최신 기술을 활용한 운전자 지원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운전자의 안전성을 증대하고 운전자가 차량을 보다 효율적으로 운전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3. Ford: Ford는 디지털 시스템 및 운전자 지원 기술을 기반으로 사용자 경험을 향상하는 다양한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예를 들어, 앱을 통해 차량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운전 습관을 분석하여 개인 맞춤형 운전 지원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4. General Motors: General Motors는 고객 중심의 설계 방식을 적극적으로 적용하며,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인터랙션을 개선하는 기술을 개발합니다.
    또한, 운전자가 차량을 보다 쉽게 운전할 수 있도록 음성인식 기술 등을 활용합니다.

이외에도 다양한 자동차 회사에서 HCI 분야에 많은 연구와 개발을 하고 있습니다.

자동차 UX 분야를 선도하는 국내 회사는 어디일까요?

국내에서는 현대기아차, 제네시스 브랜드를 운영하는 현대자동차가 UX Design을 선도하는 기업이기도 합니다.

저희는 한국인이기 때문에 현대자동차의 UX Design의 사례를 4개로 요약해보았습니다!

 

블루링크: 현대자동차의 원격제어 어플리케이션입니다. 스마트폰 앱을 통해 차량의 상태를 원격으로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습니다.

또한, 블루링크를 통해 차량의 출발 시간을 미리 설정하거나, 차량 주차 위치를 기억해 두는 등의 기능을 제공합니다.

 

디지털 클러스터: 운전자가 차량의 상태를 더 쉽게 확인하게 하는 센터페시아 영역 시스템입니다.디지털 클러스터는 타코미터, 속도계, 연료 계기판 등의 정보를 디지털화하여 표시하며, 운전자는 원하는 정보를 선택하여 화면에 나타낼 수 있습니다.

 

스마트 센스: 차선 이탈 경보, 차간 거리 경보, 블라인드 스팟 감지 등의 안전 기능입니다. 자동 주차 기능과 같은 운전자를 지원하는 기능도 제공합니다.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information과과 entertainment가 합쳐진 단어로,즐길 거리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운전자와 승객들이 차량 안에서 엔터테인먼트를 즐길 수 있도록 합니다. 예시로는 내비게이션, 음악 재생, 스마트폰 연동 등의 기능이 있습니다.​

 

지금까지 자동차 HCI 와 UX 개념의 차이점, 공통점, 선도 기업, 국내 선도 기업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저도 글을 작성하면서 공부가 되고 있는데요. 앞으로도 자동차의 사용성을 고려하는 멋진 디자이너로서 열심히 내용을 공유하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Comments